ABOUT ME

Today
Yesterday
Total
  • 일반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증명
    수학/해석 2024. 6. 15. 00:03

    sin(x)이나 cos(x) 함수의 덧셈정리가 왜 성립하는지 알기 위해 온라인 문서를 찾아보면 크게 두 가지 부류가 많이 발견된다.

    1. 그림을 사용해서 작은 각도에 대해 증명
    2. 2차원 평면에서 회전 이동을 의미하는 행렬을 가정하는 증명

    첫 번째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그림을 보여주면서 sin(α+β)=sin(α)cos(β)+cos(α)sin(β)의 증명이라고 설명하는 경우다.

    양의 각 α,β 가 둘 다 충분히 작아서 두 각의 합이 직각보다 작은 경우는 완벽한 증명이긴 하나 각도의 범위에 제한이 없는 일반각에 대해서 성립하는 설명은 아니다.

    두 번째는 2차원 회전 변환 [cos(α)sin(α) sin(α)cos(α)]을 단위원 위에 있는 임의의 점 (cos(β),sin(β)) 에 적용하는 방법인데, 맞는 얘기이기는 하나 이 회전 변환의 근거로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. 달리 말하면 sin(x), cos(x) 함수의 덧셈정리와 회전 변환은 사실상 같은 현상을 달리 표현한 것이라서 하나를 사용해서 다른 하나를 증명한다는 것은 별 의미없는 얘기다.

    물론 잘 찾아보면 일반각에 대한 제대로된 덧셈정리 증명이 발견되지만 (증명도 어렵지 않음) 직관적이지는 않은 경우가 있어서 이 글에서는 일반각에 대한 sin(x), cos(x) 함수의 덧셈정리 증명을 직관적으로 이해가 쉬운 방식으로 해보려고 한다.

    증명

    여기에서 하려는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증명은 길이가 1인 2차원 벡터의 회전 변환의 증명이라고도 할 수 있다. 물론 둘 중 어느쪽도 그냥 가정하지는 않는다. 다음 그림에서 단위원과 파란색으로 표시된 임의의 단위 벡터 a,b 로 시작해보자.

    증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벡터 a,bθ 만큼 (시계 반대 방향으로) 회전한 결과가 a, bsin(x), cos(x)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 가능함을 보이는 것이다. 위의 그림에서 추가적인 벡터 두 개를 볼 수 있는데 바로 u=1,0v=0,1이다. 여기서 필요한 기본적인 사실은 벡터 a,b 이 다음과 같이 uv 를 사용하여 표현된다는 점인데 그 이유는 위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    a,b=a1,0+b0,1

    이제 벡터 a,bθ 만큼 회전한 결과를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빨간색 벡터 a,b 로 표현해보자.

    뒤에서 다시 말하겠지만 위 그림에서 θ02π 사이의 각으로 표현된 것은 예시로 선택해서이고 벡터의 초기 방향이나 회전 각도 θ 는 임의라서 최종적인 결론도 일반각의 대한 결과가 될 것이다.

    그러면 a,ba,bθ 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.

    한 가지 방법은 벡터 uv를 사용하는 것인데, 이를 위해 uvθ 만큼 회전한다.

    위 그림에서 uvθ 만큼 회전한 결과를 각각 uv 이라고 표시하였다.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이렇게 세 벡터 a,b, u, v 를 똑같은 만큼 회전한 후에도 그들 사이의 관계는 그대로 유지되고 따라서 a,b=au+bv 이 됨을 알 수 있다.

    이제 uvθ를 사용하여 표현할텐데, 먼저 u=1,0θ 만큼 회전하면 sin(θ)cos(θ) 의 정의에 따라

    u=cos(θ),sin(θ) 를 얻는다. 그리고 v=0,1θ 만큼 회전한다는 것은 u=1,0θ+π/2 만큼 회전하는 것과 같고 결과적으로

    v=cos(θ+π/2),sin(θ+π/2)=sin(θ),cos(θ) 가 된다.

   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

    a,b=au+bv=acos(θ),sin(θ)+bsin(θ),cos(θ)=acos(θ)bsin(θ),asin(θ)+bcos(θ) 을 얻는다.

    그런데 임의의 벡터 a,b 는 애초에 1,0 을 임의의 각 ϕ 만큼 회전한 cos(ϕ),sin(ϕ) 라고 볼 수 있고, 같은 표기를 이어서 사용한다면 a,bcos(ϕ+θ),sin(ϕ+θ) 가 되므로 결과적으로

    cos(ϕ+θ),sin(ϕ+θ)=cos(ϕ)cos(θ)sin(ϕ)sin(θ),cos(ϕ)sin(θ)+sin(ϕ)cos(θ)

    가 되어 증명이 끝난다.

   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이 논의가 아주 큰 수, 또는 음수도 될 수 있는 임의의 실수 θϕ에 대해 성립한다는 것이고 위 그림에서 두 각도가 2π를 넘지 않는 양수로 표시된 것은 적당한 예시로 이해하면 된다.

Designed by Tistory.